top of page
검색

비즈니스 전공을 희망한다면: 활동보다 중요한 ‘사고의 깊이’

  • 작성자 사진: steve shin
    steve shin
  • 6월 23일
  • 3분 분량

많은 학생들이 경영학(비즈니스) 전공을 준비하며 “페이드 잡(paid job)”—즉, 급여를 받는 인턴십이나 아르바이트 경험—이 입시에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상위권 MBA 프로그램에서 3~5년 이상의 직장 경험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직업 경험이 단순히 ‘활동 목록’에 추가되기만 해도 경쟁력이 생긴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이해에 불과합니다.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은 ‘무엇을 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생각했는가’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는 사실 자체는 특별할 것이 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학생이 매장의 인력 이직률(turnover)을 관찰하고, 그 원인을 분석해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을 고민했다면? 혹은 POS(Point of Sale) 데이터를 분석해 특정 시간대의 판촉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을 제안했다면? 이는 단순한 경험이 아닌, 문제 해결력(problem-solving), 분석적 사고력(analytical thinking), 전략적 사고력(strategic thinking)이 내재된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이처럼 복합적인 의사결정의 딜레마가 끊임없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 빵집이 호황일 때, 설비를 확장할 것인가 아니면 제2 매장을 열 것인가는 전략적 의사결정의 전형적인 사례로, 이는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또는 Porter의 경쟁 전략(Porter’s Generic Strategies) 이론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 광고 효과가 불분명할 때, 어떤 지표를 통해 효과를 측정하고 판단할 것인가는 마케팅 ROI(Return on Investment) 분석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Wharton의 Jonah Berger 교수의 《Contagious》나 Harvard의 Jill Avery 교수의 사례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주제입니다.

  • 파트타이머의 이직률이 높은 상황에서, 교육에 투자할 것인지, 아니면 정직원 채용을 고려할 것인지의 문제는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HRM)의 주요 이슈이며, Stanford의 Jeffrey Pfeffer 교수의 연구 《The Human Equation》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


이처럼 일상적인 업무 속에서 발생하는 작고 현실적인 질문들을 경영학적 이론과 프레임을 통해 구조화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비즈니스적 통찰력’입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활동의 ‘화려함’이 아닙니다. 오히려 평범한 경험 속에서도 본인만의 질문을 발견하고, 그 질문을 경영학적 시각으로 분석해보려는 시도 자체가 가장 설득력 있는 스토리가 됩니다. 이는 곧 경영학적 언어로 자기 경험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능력이며, 실제 비즈니스 스쿨에서 평가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량입니다.


이는 학부 입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순히 ‘어떤 경험을 했는가’를 나열하기보다는, 그 경험 속에서 어떤 문제를 인식하고, 어떤 분석과 사고 과정을 거쳐, 어떻게 성장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진짜 경쟁력입니다. 이 지점은 특히 에세이에서 반드시 드러나야 합니다.


결국, 진정한 차별성은 '깊이 있는 사고'와 '다른 시각'에서 비롯됩니다. 나를 표현할 때, 더 깊이 고민하고, 더 다르게 해석하는 것—바로 그것이 비즈니스를 꿈꾸는 학생이 갖춰야 할 진짜 실력입니다.





Considering a Business Major? It’s Not Just About the Job.


Many students aspiring to study business in college often assume that having a paid job will automatically strengthen their application. After all, top MBA programs typically require 3 to 5 years of work experience before admission—so it’s easy to believe that any internship or part-time job will give you a competitive edge.


But this is a surface-level assumption.

What truly matters isn’t the experience itself, but the thinking that comes from it—the insights, the questions, and the reflections you gain along the way. That’s what defines real competitiveness in business education.


Take, for example, a student who worked at McDonald’s. On the surface, this might seem like an ordinary part-time job. But what if that student noticed a high employee turnover rate and started thinking about the need for a more effective training system? Or analyzed point-of-sale (POS) data to identify when certain promotions had the greatest impact—and presented a proposal to improve marketing strategy?

Now that’s not just job experience. That’s problem-solving. That’s analytical and strategic thinking—skills that business schools value deeply.


In real business environments, decision-making dilemmas are inevitable. For instance:

  • If a bakery is doing well, should the owner invest in new equipment or open a second location? This is a classic example of strategic decision-making, touching on theories like economies of scale and Porter’s Generic Strategies.

  • If advertising results are unclear, how do you measure the impact? That’s a question of marketing ROI, explored in Jonah Berger’s Contagious (Wharton) and many Harvard Business School case studies led by Jill Avery.

  • If turnover among part-timers is high, should a business invest in training or hire full-time staff? This is a key issu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directly connected to Stanford Professor Jeffrey Pfeffer’s research in The Human Equation.


Seemingly small workplace challenges, when viewed through the lens of business theory, become powerful stories of insight and initiative. This is the kind of thinking that business schools are looking for—not just at the MBA level, but even in undergraduate applications.

So don’t worry if your activities don’t look flashy on paper. What matters most is whether you asked thoughtful questions, explored your experiences with a business mindset, and made an effort to connect your actions to bigger ideas. These are the moments that define leadership, vision, and potential.


Ultimately, it’s not about having the most prestigious internship. It’s about how deeply you think and how differently you choose to express yourself.


Your story isn’t just what you’ve done—it’s how you’ve thought through what you’ve done. That’s where your real strength lies.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대학 입시, 결국 ‘학생의 생각’을 보는 과정입니다

우리가 누군가와 데이트를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상대방의 직업, 재산, 외모, 매너와 같은 외적인 조건들을 살펴보지만, 궁극적으로 알고 싶은 것은 단 하나—**그 사람의 ‘생각’과 ‘가치관’**입니다.그 사람이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며, 어떤...

 
 
 

댓글


bottom of page